주식스터디
ADX 주식 매매법 본문
. 개념
DMI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웰레스 윌더(J. Welles Wilder, Jr)이 개발하였습니다. DMI가 상승이나 하락추세시 상승폭과 하락폭의 비율을 알아내어 추세변화를 찾아내는 기법이라면 ADX는 +DI와-DI의 합과 차이를 이용하여 통합한 시장추세를 측정하는 단일지표입니다. ADX는 시장흐름에 추세가 있는지를 그것이 상승추세든 하락추세든 보여주는 ‘추세의 존재’에 대한 판별기법입니다.
2. 매매기법
ADX가 상승할 떄
ADX가 상승하고 있다는 것은 어느 방향이든 추세가 형성되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때는 ADX 하나만을 단독으로 매매지표로 삼지말고 이동평균법과 같은 추세추종적 지표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ADX가 상승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DMI의 움직임입니다.
만약 ADX가 상승하고 있을 떄 DMI(+DI와-DI)의 교차가 발생하면 즉시 시장의 방향대로 매매에 참여하여야 합니다. 이때에는 ADX로 추세방향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DI가-DI를 상향돌파할 경우에는 매수를, +DI가-DI를 하락돌파할 경우 매도를 함으로 장기적인 투자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 TIP
ADX 참조시 MACD나 스토캐스틱과 같은 추세반전 지표와의 병행사용은 의미가 없습니다.
ADX가 하락할때
ADX가 하락한다는 의미는 기존추세가 약화되기 시작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장은 비추세적이어서 횡보를 하고 있는 국면이거나 기존추세와 반대가 되는 새로운 추세가 잉태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ADX가 하락할때는 기존 포지션의 이익실현 등 포지션을 정리한 후 즉시 시장에서 빠져나와야 하며 그 시기는 ADX가 하락한 후 처음으로 발생하는 +DI와 -DI의 교차시점이 좋습니다.
※ TIP
ADX가 하락할때는 추세반전 가능성이 높으므로 RSI나 스토캐스틱과 같은 추세반전 지표와 병행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평균법과 같은 추세추종적 지표와의 병행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시장이 비추세적임을 의미하므로 ADX가 상승할때와는 달리 단기매매를 이용한 소규모의 이익실현이 현명한 투자전략입니다.
[ADX가 상승할 떄]
종합주가지수의 ADX차트와 DMI차트를 병행하여 보면 2001년 10월 초에 지수가 상승세로 전환됨에 따라 ADX가 상승하고 있다.
이때 ADX의 상승시점에서 +DI가 -DI를 상향돌파하여 매수신호를 보내고 있다.